= 달마대사의 첫 제자=
중국선종의 2조(二祖) 혜가(慧可)스님
달마대사는 중국선종(禪宗)의 초조(初祖)입니다.
이는 타협이나 방편을 쓰지 않고 오로지 직설로써 정법의 핵심을
가르치신 달마대사로부터 선종(禪宗)이 시작되었기 때문인데, 달
마대사의 첫 제자인 2조(二祖) 혜가(慧可)스님은 이러한 가르침으
로 인해 매우 힘든 고난을 겪게 됩니다.
달마대사로부터 의발을 물려받아 선종(禪宗)의 두 번째 스승이
된 혜가스님의 이름은 광(光)이였습니다. 혜가스님의 부친께서 아
기를 얻고자 치성기도를 드리던 중에 방안으로 이상한 빛이 쏟아
져 들어왔고, 그 후, 부인이 잉태하여 혜가스님을 낳았기 때문입
니다.
광은 어릴 적부터 책 읽는 것을 좋아하여 우연히 불경을 접하게
되었고, 크게 깨닫는 바가 있어 출가하여 불경을 공부하게 됩니
다. 그러다가 나이 마흔 살 무렵, 길에서 우연히 한 신인(神人)을
만나 남쪽 숭산으로 가라는 말을 듣게 되고, 신인과의 만남을 생
각하여 이름을 신광으로 바꾸고 남쪽으로 떠나게 됩니다.
달마대사는 양나라의 무제와 만남에서 불교정법의 시기가 아직
아님을 알고, 숭산 소림사로 들어가 벽을 마주하고 앉아 불법을
수행하며 말했습니다.
“나의 제자가 될 자격을 갖춘 사람이 아니라면 아무도 만나지 않
겠다.” 그러자 사람들이 찾아와서 달마대사의 등 뒤에 앉아 있곤
했지만, 결코 얼굴을 돌리는 법이 없었으며, 찾아온 사람들에게
말했습니다.
“사람들을 만나면 나는 가슴이 아프다, 바라보는 것조차 큰 아픔
이다. 하지만 벽은 원래 듣지 못하니 내 가슴이 아플 이유도 없
다. 누군가 행동으로써 내 제자가 될 자질을 보았을 때, 그때에만
나는 고개를 돌릴 것이다.”
9년이란 세월이 흐르는 동안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습
니다.
신광스님은 남쪽으로 내려와 벽관달마(壁觀達磨)를 소식을 듣고,
달마대사를 찾아와 제자가 되기를 청하였으나 뒤도 돌아보지 않
자 해가 저물고 삭풍에 눈까지 내리는 아침까지 구도일념(求道一
念)으로 기다리니, 마침내 달마대사가 신광스님에게 묻습니다.
달마 ; 그대는 어찌하여 눈 속에 서 있는가?
신광 ; 큰 스님의 자비로운 감로법문으로 저의 미혹을 깨우쳐 주
십시오.
달마 ; 부처님의 무상도(無上道)를 이루기 위해서는 아주 오랜 세
월에 걸쳐 정진이 따라야 하는 법. 어찌 조금 안다고 자만심을
가지고 무상묘도를 얻고자 하느냐?
이때 신광스님이 칼을 꺼내 왼쪽 팔을 자르니, 눈 덮인 땅에서
파초 잎이 솟아나 끊어진 팔을 받쳤다고 합니다.
신광 ; 이것은 시작일 뿐입니다. 제 마음이 아직 편치 않습니다.
저를 제자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제 머리를 잘라서 던지
겠습니다.
달마 ; 그대야 말로 진정한 나의 제자다. 이제 머리를 자를 필요
가 없으니, 그 편치 않은 마음을 가져오너라.
신광 ; 마음을 찾고자 하나 찾을 수가 없으니 어떻게 바치오리
까?
달마 ; 마음이란 필경 불가득(不可得)이라 이미 네 마음은 편해졌
노라. 달마대사의 이 말에 신광스님은 크게 깨닫고, 혜가(慧可)라
는 법명을 얻어 중국 선종의 2조(二祖)가 되었으며, 중국 소림사
에서는 왼팔이 없는 혜가스님을 기리기 위해 오른손으로만 합장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달마도 역시, 달마대사가 혜가스님을 일깨우는 엄격하고
직설적인 가르침이 고스란히 녹아있어 삿된 마음을 쫓아버리고
구부러진 마음을 바로 펴게 만드는 선묵(禪墨)의 상징적 존재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자신을 속이지 말라.”는 불기지심(不欺自心)의 의미를 되새겨 욕
심을 버리고, 진정 마음이 원하는 일에 정진하시기 바랍니다.
'*---경전·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마와 금강경 (0) | 2018.06.20 |
---|---|
금강저 (0) | 2018.06.20 |
습득의 시 (0) | 2017.03.21 |
축복의물결 (성철스님) (0) | 2015.01.03 |
내가 가장 사랑하는 나 (0) | 2014.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