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교리---*

연기의 의미와 내용 2

비로사 2006. 10. 12. 21:57

연기의 의미와 내용 2

 

이 인연의 연기법칙으로 볼때 우주 현상은 사실에 있어서 시작도 없는것이요,

끝도 없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무시무종이라고 합니다.

바로 시작도 끝도 초월한것이 무시무종입니다.

 그렇다면 무시무종에 있어서 무엇만이 존재하는 것이냐 할때 바로 끝없이

펼쳐지고 있는 삼생연기 입니다. 과거, 현재, 미래의 과거생, 현재생, 미래생에

의한 삼생인연으로 계속해서 이 끝없는 연기의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것이

바로 연기론 입니다.

 

이에 있는 현상이나 없는 현상은 없는대로 무슨 실체가 있고 있는대로 어떤

실체가 있는것이 아니라 인연이 모이면 있을수도 있고 인연이 흩어지면 없을수도

있기 때문에, 있고 없는것은 인연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그건 부질없는것이요

덧없는 것이 아닐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불교에서는 '무상' 이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부질없다는 것입니다.

왜 부질없는 것이냐?

[모든 현상은 전부가 인연에 의해서 생겼다가 인연에 의해서 흩어지기 마련입니다.]

 그러므로 인연의 현상은 무상한 것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불교에서는 있는것에도 집착하지 아니하고 없는것에도 집착하지

아니 하는것을 그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있고, 없는것은 인연에 따라서 항상 가변적이기 때문에 있는것만을

실상으로 볼수도 없고 없는 것만을 실상으로 볼수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에 있어서는 있는것과 없는것을 모두 초월해서 자유자재하는 것이

중도 입니다.

불교는 유, 와 무를 모두 초월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불교는 유신론 이라해도

연기법에서 어긋나는 것이요, 무신론 이라고 해도 연기법에서 어긋나는것입니다.

그런 까닭에 불교는 유신론 도 아니고 무신론 도 아닙니다.

바로 연기론 이요 중도론 입니다.

 

연기의 의미와 내용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