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교리---*

[스크랩] 불교의 실천수행

비로사 2006. 9. 3. 22:38

                          불교의 실천수행

*요점

       1.신앙

       2.수행

       3.발원

 

 신앙(信仰)이란, 부처님의 정법을 믿고, 부처님의 자비를 믿고 부처님의

                       불가사의한 위신력(威神力)을 믿는 것입니다.

 수행(修行)이란, 스스로 항상 노력하는 행위입니다. 언제나 부지런히

                        복덕과 지혜를 닦는 일이 수행입니다.

 발원(發願)이란,

                   우리가 앞으로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 원을 세우는 것입니다.

 부처님을 믿는 불자(佛子)들에게는 이 발원이란 아주 중요합니다.

발원이 원대하고 철저할수록 그에 따른 실천도 활발하게 펼쳐지는 

것입니다.

 이리하여 불교의 전체적인 실천과정을 살펴볼때 신앙,수행, 발원입니다.

 신앙수행발원이 우리 불자들에게 항상 갖추어져 있을때 그것은 

참으종교심이고 종교 행위이고 종교적인 이상입니다.

 이러한 내용이 강조되는것은 일반법회 에서도 늘 볼 수 있습니다.

법회(法會)를 시작할때는 반드시 삼귀의(三歸依)로 시작합니다.

 삼귀의는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과 부처님의 제자분들께 예배(禮拜)

하는 일입니다.

 이 삼귀의는 바로 신앙이 기본입니다.

신앙심에서 삼귀의를 하는 것입니다.

그 다음에는 식순에 따라서 기도. 염불. 입정(入定). 설법 등 많은 행사를합니다.

 이것은 법회시에 펼쳐지는 수행입니다.

그리고 법회를 마칠때는 마지막으로 사홍서원(四弘誓願)을 합니다.

 사홍서원은 네가지 큰 서원을 세우는 것으로서 이것이 바로 발원입니다.

미래를 향한 큰 발원법회시에하는 사홍서원입니다.

 이와 같이 상용법회 시에도 신앙수행발원이 늘 강조되고 있음을

볼수 있습니다.

 그런 까닭에 우리 불자들에게는 항상 돈독한 신앙과 철저한 수행과

원대한 발원이 있어야 합니다.

그렇게 할때 우리는 늘 기쁨과 만족, 그 속에서 살아갈 수 있습니다.

 

假使頂戴經塵劫        가사정대경진겁

身爲床座遍三千        신위상좌변삼천

若不傳法度衆生        약불전법도중생

畢竟無能報恩者        필경무능보은자

 

부처님을 머리에 이고 오랜 세월 보내며

부처님을 위해 내 몸이 의자가되어 온 세상에 놓아 드려도

불법(佛法)을 전하여 중생을 깨우치지 못하면

부처님 은혜는 갚을 길이 없도다.

 

 

한국의 부루나    종범스님    글에서

출처 : 비로사
글쓴이 : 비로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