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 안녕^^
부처님이 앉아 계신 결가부좌에 대한 질문이네.
그리고 추석에 송편과 과일이나 떡도 먹지요~
쉽게 설명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그림 하고 같이 올리니 잘 보세요.
그림 - 길상좌(吉祥坐)
결가부좌(結跏趺坐)란 말은 두 가지 뜻이 있는데
첫째
부처님께서 보리수 나무아래서 성불하실 때 앉았던 자세라 하여
완전한 깨달음을 얻은 사람이 앉는 다는 뜻의
전가부좌(全跏趺坐), 본가부좌(本跏趺坐), 여래좌(如來坐)와
보충설명: <결(結)>완성하다, <가(跏)>책상다리, <부(趺)>책상다리, <좌(佐)>앉다.
-----------------------------------------------------
둘째
양다리를 교차시켜 앉아 계신 자세를 뜻하는 결가부좌(結跏趺坐)로
먼저 오른쪽 발의 발바닥을 위로 향하게 해서 왼쪽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고,
왼쪽 발의 발바닥을 위로 향하게 해서 오른쪽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는 것을 항마좌(降魔坐).
또, 왼쪽 발의 발바닥을 위로 향하게 해서 오른쪽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고,
오른쪽 발의 발바닥을 위로 향하게 해서 왼쪽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는 것을 길상좌(吉祥坐)라 불러요.
보충설명: <결(結)>교차시키다, <가(跏)> 발바닥, <부(趺)>발등, <좌(佐)>앉다.
출처 : 조계종 송광사 일산 분원 정혜사
글쓴이 : 다선 원글보기
메모 :